
[서울이코노미뉴스 강기용 기자] 산불사태로 인한 인명피해가 사망 28명, 중상 9명, 경상 28명 등 65명으로 늘어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8일 오전 6시 기준 산불 피해가 극심한 경북지역에서 중상 1명, 경상 4명이 추가되면서 인명피해가 이 같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5시 기준 중대형 산불로 진화작업이 진행되는 곳은 경북 의성(진화율 95%)과 안동(85%), 영덕(65%), 영양(76%), 청송(89%), 경남 산청·하동(86%) 등 6곳이다.
경북 북부 지역의 평균 진화율은 전날보다 22% 포인트 증가한 85%다.
전북 무주와 경남 김해, 충북 옥천, 울산 울주 언양·온양 등 5곳은 진화작업이 마무리됐다.
이번 산불로 산림 4만8150㏊ 규모가 피해를 봤다. 2000년 동해안 산불 피해를 뛰어넘는 역대 최악의 상황이다.
귀가하지 못한 이재민은 2407세대, 8078명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주택과 농업시설 등 시설물 3481곳이 피해를 봤다.

산림청은 경북 북부 산불 발생 7일째인 이날 안에 주불을 잡는다는 목표 아래 총력을 기울였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오늘 내로 주불을 진화할 수 있도록 모든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임 청장은 "밤사이 내린 비로 연무가 적어져 시야 확보가 유리하고, 기온이 이전보다 낮아져 산불 진화에 유리한 상황"이라면서 "헬기와 인력 등 자원을 최대한 투입해 진화가 가능하도록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하회마을 등 안동 지역 주요 시설물은 현재로써 피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산불 정리가 잘된 상태" 설명했다.
이날 진화 작업에는 헬기 88대를 비롯해 진화인력 5500여명, 진화차량 695대가 동원됐다.
전날 밤부터 이날 새벽까지 산불이 난 지역에는 가끔 비가 내렸다.
강수량은 의성 1.5mm, 안동 1mm, 청송 2mm, 영양 3mm, 영덕 2m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