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비용도 똑같은 금액으로 잘못 계산”

[서울이코노미뉴스 김준희 기자] 한국투자증권이 내부 회계 오류로 5년에 걸쳐 영업수익(매출)이 5조7000억원 부풀려진 사실을 확인하고, 뒤늦게 재무제표를 수정했다.
다만 영업비용도 같은 값으로 잘못 계산돼 당기순이익은 그대로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국금융지주와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치 사업보고서의 영업수익과 영업비용을 일제히 정정해 최근 제출했다.
결산 과정에서 한국투자증권의 5년간 외환거래 관련 영업수익이 실제보다 5조7000억원 늘었고, 영업비용도 5조7000억원 늘어났다는 것이다.
연도별 영업수익은 ▲2019년 9조9236억원→9조6820억원 ▲2020년 15조2000억원→14조5600억원 ▲2021년 11조6060억원→12조4305억원 ▲2022년 20조8065억원→21조6689억원 ▲2023년 22조848억원→19조3540억원으로 바뀌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이에 대해 “리테일부서와 FX부서에서의 외환 거래 처리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면서 “내부 거래라 (재무제표에서는) 상계해야 되는데 그렇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대규모 재무제표 정정으로 한국투자증권은 금융당국 회계감리 대상에 오를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회사가 공시된 재무제표를 자진 수정하더라도 최근 5년 내 3회 이상 수정하거나, 정정 규모가 '중요성 금액'의 4배 이상일 때 감리를 받을 수 있다. 중요성 금액이란 당국이 누락이나 왜곡이 있을 경우 이용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는 기준 금액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5년치를 한 번에 정정했다면 횟수로는 한 번이지만, 재무제표 본문 금액이 바뀌고 실무적으로 상당히 큰 규모라 감리대상이 될 확률이 높다"면서 "다만 선정 여부나 시기를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