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CEO·직원 연봉 격차는 "15.3배 여전"
대기업 CEO·직원 연봉 격차는 "15.3배 여전"
  • 윤석현 기자
  • 승인 2025.03.26 11:16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리더스인덱스 284개사 임원 및 직원 보수 분석
'격차 1등' 분야 및 회사는 식음료·CJ제일제당

[서울이코노미뉴스 윤석현 기자]  지난해 국내 주요 대기업의 최고 연봉자 보수와 직원 평균연봉 간 격차가 줄었지만, 여전히 이들의 격차는 15배가 넘는다.

26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매출기준 상위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5억원 이상 연봉자를 공개한 284개사의 최고경영자(CEO) 연봉, 미등기임원 평균보수, 직원 평균보수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보자.

이에 따르면 지난해 각 기업에서 최고연봉을 받은 임원의 평균보수는 전년 14억6900만원보다 1.3% 감소한 14억5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실질 평균연봉은 9510만원이었다. 이는 전년 9230만원보다 3% 증가한 수치다.

최고 연봉자의 보수는 줄고, 직원 보수는 늘면서 연봉격차가 2023년 15.9배에서 지난해 15.3배로 소폭 줄어들었다.

이번 조사에서 최고경영자 보수는 연봉 5억원 이상 공개대상자 중 C레벨(최고의사결정권자)이면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인물을 기준으로 했다. 퇴직금은 제외하고 스톡옵션은 포함했다.

미등기임원 연봉은 사업보고서상 미등기임원 1인당 평균보수이다. 직원 평균급여는 전체 평균연봉에서 미등기임원 보수를 제외한 실질수치를 사용했다.

업종별로 보면 최고 연봉자와 직원 간 연봉격차가 가장 큰 분야는 식음료였다.

식음료 분야에서 최고연봉자 평균(19억9539만원)과 직원 평균(6718만원)은 29.7배 격차를 보였다. 다음으로 유통(22.8배), 제약(22.2배), IT·전기전자(21.7배), 자동차·부품(20.6배) 순으로 차이가 컸다.

반면, 은행업은 격차가 가장 작았다. 2023년 8.6배였던 격차는 지난해 8.3배로 축소됐다. 여신금융(8.4배), 증권(10배), 보험(10.1배) 등 여타 금융업종도 상대적으로 격차가 작은 편에 속했다.

개별기업으로는 CJ제일제당이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손경식 회장이 81억7100만원을 받을 때 직원들은 실질 평균연봉 7702만원을 수령해 106.1배 차이를 기록했다.

두 번째는 LS일렉트릭으로 구자균 회장(71억4200만원)이 직원(8182만원) 대비 87.3배 많은 연봉을 받았다. 

이어 비에이치 84.2배(이경환 회장 40억2900만원-직원 4785만원), 삼성바이오로직스 75.7배(존림 대표이사 사장 79억1100만원-직원 1억445만원), 현대백화점 73.9배(정지선 회장 50억4400만원, 직원 6824만원), 이마트 71.8배(정용진 회장 36억900만원, 직원 5029만원), 하이트진로 65.2배(박문덕 회장 72억5919만원, 직원 1억1114만원) 순으로 차이가 컸다. 

지난해 미등기임원을 제외한 직원 실질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기업은 SK에너지다. 전년 1억5251만원에서 5.2% 증가한 1억6038만원을 기록했다. SK에너지는 2023년 6위에서 지난해 1위로 올라섰다.

이어 우리금융지주(1억5912만원), 코리안리(1억5689만원), 신한지주(1억5667만원), NH투자증권(1억5492만원), 삼성증권(1억5355만원), SK텔레콤(1억5222만원), 에쓰오일(S-OIL,1억4956만원), 삼성화재해상보험(1억4665만원), 삼성카드(1억4645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10곳 가운데 직원 연봉이 감소한 기업은 에쓰오일이 유일했다. 이 회사는 전년(1억6822만원) 대비 11.1% 하락했다. 아울러 2023년에 직원 평균연봉 1억6000만원을 넘기며 3위였던 KB금융은 지난해 1억4000만원대(-12.5%)로 하락하면서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미등기임원의 평균연봉이 가장 높은 기업은 크래프톤이었다. 지난해 전년(9억5300만원) 대비 41.3% 증가한 13억4700만원으로 2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 

2위는 아이에스동서(10억9900만원)로, 미등기임원 연봉이 124.7% 급증해 10억9900만원을 기록하며 36위에서 2위로 껑충 뛰었다. 반면 같은 기간 직원들의 실질급여는 36.1%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이외에도 E1(8억6100만원), 하이브(7억7000만원), 신세계(6억7800만원), 삼성전자(6억7100만원), 코리안리(6억5700만원), 오리온(6억700만원), 이마트(5억9800만원), 포스코이앤씨(5억9700만원) 순으로 미등기임원 연봉이 높았다. 

하이브는 전년도 6억900만원에서 26.4% 증가하며 13위에서 5위로 올랐고, 포스코이앤씨는 5억100만원에서 5억9700만원으로 19.2% 상승해 34위에서 10위로 진입했다. 

반면 이수화학은 8억600만원에서 1억8700만원으로 76.8% 감소, 3위에서 247위로 추락해 눈길을 끌었다. LG에너지솔루션, GS건설, 엔씨소프트 등도 두 자릿수 하락률로 상위 10위권에서 빠졌다.

이재현 CJ 회장

퇴직금을 제외한 개인 최고 보수 수령자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이었다. 그는 지난해 CJ와 CJ제일제당 두 곳에서 총 193억7400만원을 받았다. 

2위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으로, 4개 계열사에서 178억3400만원을 수령했다. 다만 신 회장은 호텔롯데와 롯데물산 사업보고서가 미공시 상태여서 해당 급여는 반영되지 않았다. 

3위는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으로 지난해 HS 및 HS효성에서 총 151억9000만원을 기록했다.(효성 퇴직소득 171억9200만원 미포함) 조 부회장은 보수와 상여만으로는 70억원을 밑돌았으나, 효성에서 특별공로금 85억원을 수령하면서 순위가 급등했다. 

이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139억8100만원),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115억1800만원),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113억6300만원),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102억1300만원)이 100억원 이상을 수령했다.

박지원 두산에너빌리티 회장(96억6300만원),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91억9900만원), 구광모 LG그룹 부회장(81억7700만원)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023년 5위였던 남궁훈 전 카카오 대표가 순위에서 빠지고, 조현상 부회장이 새롭게 진입한 점이 눈에 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번에도 5억원 이상의 연봉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룹사 기준으로는 개인 보수 30위권내 LS그룹이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CJ는 3명, 한화·현대차·SK·GS·현대백화점 등은 각각 2명씩 이름을 올렸다.

2023∼2024년 업종별 최고연봉자·직원 평균연봉 격차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