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박희만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글로벌 차원의 데이터센터 건설 프로젝트를 일부 중단하거나 지연시키며, AI 인프라 확장에 대해 보다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3일(현지시간) MS는 인도네시아, 영국, 호주, 미국 일리노이·노스다코타·위스콘신 등에서 추진하던 데이터센터 사업을 연기하거나 관련 논의를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최근 영국 런던과 케임브리지 사이에 건설 예정이던 최첨단 엔비디아 칩 탑재 데이터센터와 미국 시카고 인근 부지에 대한 협상을 중단,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인근 데이터센터 캠퍼스의 공사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또 미국 위스콘신 주에서 진행 중인 데이터센터 확장 계획 역시 당분간 보류된다. 해당 프로젝트의 초기 6개월 동안 MS는 약 2억6200만달러(약 3800억원)를 투입했으며, 이 중 4000만달러(약 576억원)는 콘크리트 작업에 사용됐다.
아울러 MS는 AI 클라우드 전문 기업 코어위브(CoreWeave)로부터 추가로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임대할 계획이었으나, 최근 이를 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어위브의 마이클 인트라토(Michael Intrator) CEO는 이 같은 변화가 업계 전반의 흐름이라기보다는 MS에 국한된 사안이라며, “이는 오픈AI와 MS의 관계 변화에 따른 것으로, 일정 부분 혼란이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MS 대변인은 “수년 전부터 데이터센터에 대한 장기 계획을 수립해왔으며, AI 수요 증가와 입지 확장에 따른 전략적 유연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위스콘신 프로젝트의 초기 확장은 이미 시작됐으며, 해당 데이터센터는 내년에 가동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MS는 인도네시아의 클라우드 인프라도 오는 2분기 중 가동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밝혔으나, 그 외의 세부사항은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MS는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최대 주주로, 그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AI 서비스 상용화에 있어 선두를 달려왔다. 투자자들은 MS의 AI 및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장기 수요를 가늠하기 위해 이번 지출 조정 계획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MS는 올해 회계연도 동안 데이터센터 구축 등에 총 80억달러(약 11조 8000억원)를 지출할 계획이며, 다음 회계연도에는 신규 AI 인프라 구축보다는 기존 시설에 대한 장비 설치 및 최적화에 집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