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MBK 전방위 압박…산하 투자자문사도 검사 착수
금감원, MBK 전방위 압박…산하 투자자문사도 검사 착수
  • 김준희 기자
  • 승인 2025.04.03 10:52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KP SS의 미공개정보 이용 관련 MBK 연관성 조사 중…
홈플러스 관련 MBK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도 공개 촉구
MBK파트너스의 설립자인 김병주 회장./연합뉴스

[서울이코노미뉴스 김준희 기자] 금융감독원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최대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산하 투자자문사인 MBK파트너스 스페셜시츄에이션스(MBKP SS)에 대해서도  검사에 나섰다.

금감원은 홈플러스에 대한 회계 심사를 강제성이 있는 감리 조사로 전환하는 등 MBK파트너스에 대한 전방위 압박을 가하고 있다.

MBK파트너스의 설립자인 김병주 회장을 겨냥해 “대주주가 사재 출연하는 등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1일 MBKP SS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MBKP SS는 MBK파트너스 홍콩법인의 100% 자회사로 2023년 한국앤컴퍼니 공개매수 당시 주체로 나섰다.

금감원은 MBKP SS와 법무법인 광장 직원들이 2023년 한국앤컴퍼니 공개매수 당시 미공개정보를 이용했다는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는 것과 관련해 MBK파트너스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지난 1월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행위 금지 위반 혐의로 MBK SS 직원 1명과 광장 직원 3명을 고발했고, 서울남부지검은 지난달 광장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MBK파트너스 검사는 이미 나가 있기 때문에 MBKP SS의 미공개정보 이용건과 관련해 MBK파트너스가 관여한 부분이 있는지를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사기적 부정거래 등 회계처리 위반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집중하고 있다.

함용일 금감원 자본시장부문 부원장은 지난 1일 브리핑에서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과정에서 경위와 시점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해명과 다른 정황을 발견하는 등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면서 “이에 따라 회계심사를 감리 조사로 전환해 보다 세밀하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함 부위원장은 “홈플러스는 일부 점포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으면서 구체적 해명 없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모호한 표현으로 일관하고 있다”면서 "대주주가 사재 출연하는 등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보유 역량을 총동원해 사기적 부정거래 등 각종 의혹을 철저히 규명하고 위법 행위를 발견하면 엄중하게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감원의 MBKP SS에 대한 검사 착수에 따라 MBKP SS가 신청한 투자자문업 폐지승인 심사는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MBKP SS는 지난달 국내 투자자문업 면허가 필요 없어졌다며 금융당국에 투자자문업 면허 폐지를 신청했다.

금감원은 검사 중인 투자자문사가 면허를 반납할 경우 대책을 묻는 의원실 질의에 "금융당국은 검사의 성격 등을 고려해 검사결과가 심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경우 심사를 중단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폐지 관련 승인은 검사와 제재 결과 등을 본 다음에 결정하는 것이 통상적"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