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이코노미뉴스 박희만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 회장은 “중국의 속도를 보면 시간이 흘러 우리가 쫓아가지 못하고 죽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며 “제조업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지난 2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열린 ‘미래세대와의 AI 토크콘서트’에서 중국의 AI와 제조업 발전 속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한국의 제조업 강화를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AI와 제조업 모두 우리나라를 앞서가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며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모든 기업이 제조 데이터를 모으고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여 제조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역설했다.
최 회장은 “이러한 프로그램이 없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번 행사는 대한상공회의소와 KAIST가 공동으로 주최하였으며,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하고 AI가 사회에 미칠 영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이형의 SK 수펙스추구협의회 위원장, 정태희 대전상의 회장 등 주요 기업 대표들과 이광형 KAIST 총장, 정송 KAIST AI대학원장, 그리고 200여 명의 KAIST 학생 및 예비 창업자들이 참석했다.
최 회장은 또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를 올려 공장을 한국이 아닌 다른 국가로 이전하게 되더라도, 백그라운드 기술이 없다면 다른 나라에서 성공할 수 없다”며 “AI와 제조업을 결합한 경쟁자들이 공장을 세울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경쟁력은 얼마나 독보적인가에 달려 있으며, 그래서 우리는 엔비디아의 GPU를 줄 서서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SK의 AI 미래 전략에 대해서는 “AI 데이터센터에 들어갈 칩 솔루션을 만드는 것”을 핵심 과제로 꼽으며 “메모리를 넘어 메모리를 확장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AI 데이터센터를 가장 저렴하게 건설하는 길을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대형 언어 모델(LLM) 형태의 AI 솔루션을 개발하고, 텔코 관련 B2B 및 B2C 모델을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마지막으로 “현재처럼 AI 개발에 많은 자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효과적인 자원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진단하며 “적은 리소스라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