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코노미뉴스 김준희 기자] 정부가 오는 2033년까지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를 아우르는 무탄소 에너지 생태계 조성강화를 통해 59조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산·학·연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열고 2024∼2033년 적용되는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을 공개했다.
산업부는 에너지법에 따라 5년마다 10년단위 에너지기술개발 중장기 로드맵인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을 발표한다.
새 계획안은 '탄소중립·에너지 안정성 달성을 위한 무탄소 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최상위 목표인 중장기 비전으로 제시했다.
산업부는 이번 계획을 내놓으면서 2033년까지 소형모듈원자로(SMR·발전용량 30만㎾급)를 포함한 원전,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수소 등 분야에 걸쳐 무탄소 에너지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경제적 파급효과가 5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기간 에너지기술 자립화율은 기존의 80.6%에서 90%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비전 달성을 위한 구체적 접근법에 해당하는 전략으로는 우선 SMR 등 원전 활용확대, 태양광 등 신재생 경쟁력 화, 청정수소 및 청정 화력발전의 경제성 강화와 국산화 등이 포함된
'무탄소 에너지 확대를 위한 기술경쟁력 강화'가 제안됐다.
이와 관련해 2035년부터 국내에서 처음 가동될 것으로 예상되는 첫 소형모듈원자로(SMR)의 건설단가는 kWe(킬로와트)당 3500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차세대 탠덤 태양전지 효율을 2023년 26.1%에서 2033년 35%로, 해상풍력단지 이용률을 2023년 30%에서 50%로 높이는 내용도 포함됐다.
두번째 전략인 '유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망 구축' 항목에서는 만성적인 송전 제약완화를 위한 대안기술 개발, 에너지 저장기술 개발 등의 방법이 담겼다.
이밖에도 산업·건물 부문 열에너지 활용 최적화 등의 내용이 담긴 '에너지 사용의 고효율·청정화', 혁신형 연구개발(R&D) 확대 등을 포함한 'R&D 혁신 생태계 조성'도 접근도 각각의 전략으로 제시됐다.
산업부는 이날 공청회를 통해 수렴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오는 12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