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생명보험업계 랭킹 2위인 한화생명 차남규 대표이사 부회장(64)이 지난 3월 4연임에 성공하며 생보업계 `장수 최고경영자(CEO)`에 이름을 올렸다. 임기는 2020년 3월까지다. 2011년 한화생명 각자대표로 부임한 이래 4번째, 단독대표로는 2번째 연임에 성공한 것이다.
이로써 차 부회장은 올해로 8년째 국내 `빅3` 생보사인 한화생명을 이끌고 있다. 하지만 한화그룹 주변에서 그에 대한 평가가 최근 급속하게 식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화그룹의 지주회사 격인 한화가 한화생명의 경영부진 탓에 올 1분기 실적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김승연 회장의 친(親)노동 정책의지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은 탓이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한화생명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오히려 비정규직 직원을 더욱 늘렸다. 지난 2016년 말 58명이었던 한화생명 소속 기간제근로자는 문재인 정부 출범 후인 2017년 3분기 말 72명으로 증가했다. 인원으로는 14명, 증가율은 약 24%다. 올들어서는 지난 3월말 현재 65명으로 7명이 줄었다.
한화생명, 얼마 전 정규직 전환을 미끼로 보험설계사 모집해 놓고 약속 지키지 않아 '구설수'
한화생명은 또 얼마 전 정규직 전환을 미끼로 보험설계사를 모집해 놓고 약속을 지키지 않아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다. 영업관리자로 발탁 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겠다는 조건을 내걸었지만 2010년 이후 실제로 정규직으로 전환된 보험설계사는 2명 뿐이라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었다.
보험설계사는 업무강도가 높고 직업 자체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낮아 구직자들이 기피하는 직업 중 하나로 분류된다. 결과적으로 정규직 채용을 미끼로 하는 ‘꼼수 채용’ 의혹까지 일고 있어 비판이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한화생명은 콜센터, 보험모집 등의 업무를 위탁하는 자회사와의 수의계약 규모도 지속적으로 늘려와 논란은 가중되고 있다. 해당 업체의 경우 비정규직 직원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사실상 ‘비정규직 은폐’ 시도를 일삼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해 출범한 문재인정부의 주요 국정기조 가운데 하나는 바로 ‘친노동’이다. 이에 각 재벌기업들은 정부와의 코드 맞추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노력이 대표적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일자리 창출과 아울러 문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선거공약으로 내세우고 시급성을 강조해 온 사안이다.
한화그룹 역시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춘 친노동 정책으로 주변의 호응을 얻고 있다. 관련 사안에 있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다. 예컨대, 지난해 8월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직무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직원 85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이러한 결정은 한화그룹 총수인 김승연 회장의 의지가 깊이 반영됐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승연 회장,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앞장서...차남규 부회장은 '비정규직 증가' 거꾸로 행보
김 회장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노력에 앞장서 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재벌총수 가운데 한명이다. 앞서 2013년 3월 10대그룹 중 가장 먼저 비정규직 2,040명을 자율적으로 정규직 전환하기도 했다. 문재인정부가 출범하기 훨씬 이전부터 친노동 경영을 해 온 셈이다. 지난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결정이 정부 코드 맞추기가 아닌 진정성 있는 친노동 의지라는 평가를 받는 배경이다.
정작 문제는 최근 한화그룹 계열 생명보험사인 한화생명과 수장인 차남규 부회장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평가가 나온다는 점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승연 회장의 적극적인 노동친화 정책과 의지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지적마저 일고 있다.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탓이다. 심지어 비정규직 직원을 더욱 늘렸다.
차 부회장은 현재 한화그룹 내에서 ‘실세 중의 실세’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그런데 한화생명 안에서 비정규직 증가와 같은 반노동 행보가 이뤄진다면 이는 대표이사인 차 부회장의 승인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결국 차 부회장의 주도 아래 반노동정책이 착착 진행되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는 얘기다.
최근 한화생명을 둘러싼 구설수는 단순히 한 기업의 경영적 판단에 따른 결과로 보기에는 사안의 중대함이 남달라 보인다. 사안 자체가 현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는 정책기조를 정면으로 거스르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룹 총수인 김승연 회장의 경영철학과도 배치되는 모습이다.
차남규 부회장은 평소 김 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다. 그런데 차 부회장이 결정한 사안들이 오너 회장의 의지를 무시하거나 어깃장을 놓은 결과를 낳는다는 점에서 사안의 심각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그룹 주변의 관측이다.
한화생명, 비정규직 직원 수 늘린 것은 文대통령과 金회장의 親노동 의지에 '찬물' 끼얹는 행태
그렇지 않아도 한화생명은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로 그룹 내 다른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가 이 사안의 위법성 여부를 놓고 실무적인 차원에서 법률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진다.
한화생명은 그룹 내 계열사인 한화호텔앤리조트 상품권을 직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데도 거래금액이 크지 않아 문제의 소지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한화생명이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를 활용하면서 일감몰아주기를 악용한 것인지를 놓고 공정위가 위법판정을 내릴 경우 한차례 큰 파문이 예상된다.
특히 최근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통해 일감 몰아주기 논란 해소에 속도를 내고 있는 한화그룹은 이 사안이 자칫 변칙부당거래 의심을 살 수도 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현재 국세청이 교보생명, ING생명, 한화손해보험, KB손보 등에 조사요원들을 투입해 길게는 수개월간 일정으로 보험업계에 동시다발적인 세무조사에 착수한 상태이다.
지난 해 문재인 정부 출범후 친노동 정책기조에 가장 적극적으로 부응한 곳은 한화그룹이었다. 한화그룹은 오너인 김승연 회장 주도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영 행보를 보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 직접 한화그룹 계열사 공장을 방문해 일자리 모범사례로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한화생명은 다른 상장 계열사들과 달리 비정규직 직원 수를 일부 늘린 것은 문 대통령과 김 회장의 친노동 의지에 찬물을 끼얹는 행태를 보인 것이다.
“차남규 부회장의 독단적-反노동적 경영을 김승연 회장이 결코 가볍게 넘겨선 안될 것” 주장도
차남규 부회장은 한화그룹 2인자로 불리면서 그저 실적증대를 위해서 이처럼 그릇된 경영을 하는 걸까. 아니면 오너인 김승연 회장을 믿고 그런 것일까. 어느 경우든 지나치면 오만이며, 결과에 따른 총체적 책임은 그룹총수에게 돌아간다. 재계와 금융권에서는 김승연 회장과 '엇박자'를 내며 엉뚱한 길을 가고 있는 그의 경영행태를 그룹총수가 좌시할 지 여부를 주목한다.
이에 대해 한화생명 관계자는 “시기에 따라 비정규직 인원이 잠시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전체적으로는 3800명 직원 중에서 1.5% 정도의 비율로 다른 회사에 비해 높지 않고, 앞으로도 감소를 위한 노력을 이어 갈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생보업계에서는 차남규 부회장이 이끄는 한화생명이 최근 실적부진과 주가하락, 그리고 일자리와 관련한 부정적 이슈를 양산하는 점에 주목한다. 차 부회장으로 인해 한화생명, 나아가 한화그룹 전체와 김승연 회장에게 부정적 이미지가 덧씌워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화생명은 올해 매출 19조1750억 원, 영업이익 448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과 비교해 매출은 5.9%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24.3% 대폭 감소하는 것이다.
한 금융시민단체 당국자는 “김승연 회장의 한화그룹 일자리 정책이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가운데 한화생명이 반대행보를 보임에 따라 그룹회장이 힘들여서 벌어놓은 ‘점수’를 차 부회장이 깎아먹고 있는 꼴”이라며 “차남규 부회장의 한화생명에서의 독단적이고 반노동적 경영행태를 김승연 회장이 결코 가볍게 넘겨선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