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무역갈등 격화땐 성장률 더 위축"…1.5% 이하 우려도
한은 "무역갈등 격화땐 성장률 더 위축"…1.5% 이하 우려도
  • 윤석현 기자
  • 승인 2025.02.04 10:23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1.6~1.7% 전망'엔 美 관세정책 영향 충분히 반영안돼
작년 11월 "미중 갈등 심화시 0.2%p 추가하락" 언급

[서울이코노미뉴스 윤석현 기자] 글로벌 무역갈등이 격화할 경우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대 중반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국내 정치 불확실성에 더해 미국의 주요 교역상대국 관세인상까지 악재가 겹치며 한국 경제성장 전망이 갈수록 비관적이다.

4일 한국은행 조사국은 지난해 11월28일 경제전망에서 글로벌 무역갈등 격화에 따른 성장전망 경로상의 리스크를 '시나리오2'로 소개했다.

당시 한은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1.9%로 예상하면서, 미국과 중국 등의 무역갈등이 심해지면 성장률이 0.2%포인트(p)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봤다.

한은은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강화와 이에 대한 중국 등 주요국의 대응으로 글로벌 무역갈등이 격화할 경우, 글로벌 교역이 급격히 위축되고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증대될 것"이라며 
"리스크 프리미엄 확대 등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가중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시나리오는 점차 현실이 돼가는 분위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0%,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 25%의 관세를 추가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각국이 대응조치를 예고하면서다.

문제는 한은의 기존전망에 이같은 상황이 충분히 반영돼 있지 않다는 점이다.

한은은 지난달 16일 기준금리 동결당시 올해 경제성장률을 애초 전망했던 1.9%가 아닌 1.6~1.7%로 가정한 사실을 최근 블로그를 통해 공개했다.

한은은 정치 불확실성의 경기하방 효과를 0.2%p 정도로 판단했으며,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에 따른 리스크는 지난해 11월 경제전망 당시 수준 정도만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은의 금리동결 이후인 지난달 20일(현지시간) 공식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이 돼서야 중국 등을 상대로 한 추가관세 부과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에 따라 한은이 오는 25일 발표하는 수정경제전망에서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1.5%나 그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 해외 주요투자은행(IB)들은 앞다퉈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대 초·중반으로 하향 조정하는 상황이다.

씨티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최근 1.5%에서 1.4%로 낮췄고, JP모건도 1.3%에서 1.2%로 내렸다. 리서치 전문회사인 캐피털 이코노믹스(CE)는 1.1%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에따라 주요 IB들의 평균전망치 역시 지난해 12월 말 기준 1.7%에서 조만간 1.6%나 그 아래로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씨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미국의 관세부과로 한국의 GDP는 0.22~0.44% 감소할 것으로 추산한다"며 "자동차 부품, 철강, 기계 등이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이른바 '관세전쟁'은 현재로선 더 격화할 수도, 중도에 봉합될 수도 있는 국면으로 평가된다.

한은 관계자는 "아직 11월 경제전망에서 언급한 '시나리오2' 상황에는 이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상황이 매우 유동적인 만큼, 이달 25일 경제전망이 어떻게 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