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관리·스트레스DSR 등에 9월부터 대출증가세 둔화…당분간 이어질것"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지난 3분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구입) 열기가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전체 가계 빚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은행권이 가계대출총량 관리에 나서고 금융당국도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9월부터 시행했지만, 가계 빚 억제효과는 4분기에나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13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말 1895조8000억원보다 18조원 증가했으며, 2002년 4분기 관련통계 공표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다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가계신용은 통화긴축 속에서도 지난해 2분기(+8조2000억원)·3분기(+17조1000억원)·4분기(+7조원) 계속 늘다가, 올해 1분기 들어 3조1000억원 줄었지만, 곧 반등해 두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증가폭도 2분기(+13조4000억원)보다 3분기(+18조원)에 더 커졌다. 2021년 3분기(+35조원)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카드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795조8000억원으로 2분기 말 1779조8000억원보다 16조원 불었다. 역시 2021년 3분기(+34조8000억원)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112조1000억원)이 19조4000억원 급증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잔액 683조7000억원)의 경우 3조4000억원 줄어 열두개 분기 연속 뒷걸음쳤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959조2000억원)이 석달새 22조7000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22조2000억원 불었고, 기타대출까지 5000억원 증가했다.
하지만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04조3000억원)은 1조7000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은 9000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6000억원 축소됐기 때문이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32조4000억원)도 4조9000억원 감소했다. 보금자리론 등이 상환되고 증권사 신용공여가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증가 배경에 대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지난해 4분기 5만3000호에서 올해 1분기 5만9000호로 늘었고, 2분기와 3분기 각 8만3000호, 9만6000호로 뛰었다.
김 팀장은 향후 추세와 관련 "당국의 2단계 스트레스 DSR 등 거시 건전성 정책과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으로 9월 들어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했다"며 "수도권 주택거래 증가속도도 더뎌진 만큼, 주택거래에 1∼3개월 후행하는 주택담보대출의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대출증가세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3분기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 잔액(118조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 위주로 2조원 증가했다. 김 팀장은 "추석 연휴 등에 신용카드 사용규모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기관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