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소유자 1561만명,1인당 평균 1.07채
[서울이코노미뉴스 윤석현 기자] 가구가 소유한 집값의 격차가 최대 40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는 소유한 주택 수도 상대적으로 많아, 우리사회의 자산 불평등을 보여주는 사례로 꼽히고 있다.
통계청은 18일 이같은 내용의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건축물대장, 주택공시 가격, 재산세 자료 등 주택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작성됐다.
◇작년 72만명 집 구매…1인가구·한부모가구 주택 소유율 낮아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2100만원으로 전년 3억1500만원보다 600만원 상승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수는 1.35채, 평균면적은 86.6㎡였다.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3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5명이었다.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가액은 12억5500만원으로,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가액 3100만원의 40.5배 수준이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 12억1600만원보다 3900만원, 하위 10%는 전년 3000만원보다 100만원 증가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7채로, 하위 10% 0.98채보다 약 2.4배 많았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수도 더 많은 셈이다. 한국 사회의 자산 양극화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2022년 11월1일 기준으로 소유한 주택이 없었다가 1년 뒤 소유자가 된 사람은 71만9000명이었다.
반대로 같은 기간 주택 소유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0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소유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02만6000명이었고, 이중 98만1000명이 집을 1채 더 산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건수가 감소한 사람은 55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모두 1675만9000채로 전년 1644만8000채보다 31만2000채 늘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4%였다. 주택 소유율은 상대적으로 1인가구(31.3%), 비친족가구(42.3%), 한부모·미혼자녀 가구(53.9%) 등이 평균 보다 낮게 나타났다.
◇유주택자 1인당 평균 1.07채 보유…여성 다주택자 비중 상승세
지난해 11월1일 기준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674만2000채로 전년 1643만3000채보다 31만1000채 늘었다.
주택 소유자는 전년 1530만9000명보다 30만9000명 늘어난 1561만8000명이었다. 1인당 평균 소유 주택수는 1.07채로 전년과 같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393만8000명(25.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22.8%), 40대(21.2%), 70대(12.0%) 등 순이었다.
주택 1채만 소유한 사람은 1327만9000명(85.0%)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2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33만9000명(15.0%)으로 집계됐다.
여성의 다주택자 비율은 15.0%로 전년보다 0.2%포인트(p) 상승하며 남성(15.0%)과 같아졌다.
개인소유 주택 1674만2000채 중 단독소유 주택은 1449만6000채(86.6%)였고, 나머지(13.4%)는 공동 소유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공동소유 비중이 0.1%p 상승했다.
개인소유 주택 중 주택 소재지와 같은 시·도 내 거주자(관내인)가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86.3%로 전년보다 0.1%p 감소했다.
그만큼 외지인의 주택소유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는 의미다.
관내인 주택소유 비중은 울산(91.1%), 전북(89.6%) 등에서, 외지인 소유 비중은 세종(30.5%), 충남(17.6%) 등에서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