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코노미뉴스 김보름 기자] 지난 10년간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접수한 '급발진 의심' 사고 가운데 57%는 50대 이하가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생한 서울시청 인근 역주행 사고 등으로 급발진은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는 가운데 나온 통계여서 주목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실이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제출받아 1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공단이 운영하는 자동차리콜센터가 2014년부터 올해 6월까지 10년6개월간 접수한 '급발진 주장' 사고 신고 건수는 456건이었다.
이 가운데 신고자의 연령이 확인된 사례는 396건으로, 신고자 연령별로 보면 60대가 122건으로 30.8%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가 108건(27.3%), 40대는 80건(20.2%)으로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70대 46건(11.6%), 30대 30건(7.6%), 20대 7건(1.8%), 80대 3건(0.8%)으로 집계됐다.
50대 이하가 56.8%로 60대 이상 고령층 43.2%보다 많은 것이다.
이와 관련, 자동차급발진연구회 회장인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급발진 의심 사고는 다양한 연령층에서 자주 발생한다"면서 "시청 부근 사고로 고령 운전자가 주로 일으키는 사고로 잘못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고령자 운전 제한에 집중하기보다 비상자동제동장치(AEBS), 페달 오조작 방지 장치 등 급발진 의심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장치의 도입을 확대해 사고를 예방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