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등기 청년 자산불평등 심화…기회의 평등 필요"
[서울이코노미뉴스 윤석현 기자] 20대 가구가 저축만으로 서울 아파트를 사려면 무려 86.4년이나 걸린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의 이한진 연구위원은 3일 '부동산 폭등기 청년가구 재정변화 분석' 보고서에서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와 KB부동산 통계 등을 근거로 이렇게 계산했다.
2023년 기준 가구주가 29세 이하인 20대 가구의 소득은 연 평균 4123만원으로, 여기에 소비지출(2136만원)과 비소비지출(598만원)을 뺀 '저축가능액'은 1389만원이었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 11억9957만원(월별 평균매매가의 연평균)를 기준으로 할 때, 저축가능액 전부를 86.4년 모아야 서울 아파트 한채를 살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기간은 2014년 39.5년에서 10년 사이 두배 이상 대폭 늘어난 것이다.
집값이 특히 급등했던 2021년엔 92.8년까지 치솟았다 2022년과 지난해 소폭 줄었다.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 10년간 20대 가구의 소득증가율은 21.02%로 전체 연령대(45.17%)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저축가능액 증가율(12.65%)도 전체(64.90%)보다 한참 낮았다. 소득에서 저축가능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10년 사이 20대 가구에서만 줄었다.
이처럼 최근 주택가격 급등속에 청년세대와 다른 세대의 격차뿐 아니라 청년세대내 자산 불평등도 심화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특히 청년세대의 부채는 급증하고 순자산은 소폭 증가하면서 순자산 격차가 두드러졌다.
주택가격 급등기인 2015∼2022년 20대 가구의 순자산은 40대 가구의 27.86% 수준에서 18.08%로 줄었다.
30대 가구 순자산도 40대 가구 대비 72.57%에서 63.82%로 낮아지며 격차가 커졌다.
청년세대(39세 이하) 내에서도 하위 20% 가구 대비 상위 20%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이 2017년 31.75배에서 2021년 35.27배로 늘어났다.
이한진 연구위원은 "주택가격 급등으로 자산 불평등이 심화하는 가운데 청년세대내 자산 불평등 확대엔 소득격차만으론 설명할 수 없는 부의 대물림이 근저에서 작용하고 있다"며 청년세대 기회의 평등을 향상하기 위한 무상교육 확대,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공공임대주택 공급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