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칼럼] 외갓집은 참 멀었다. 서울에서 지도로도 이미 천리길을 넘어서는 남녘 끝마을에 가까웠다. 몇 년에 한번쯤 어머니를 따라 나서던 유년에는, 가는 내내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구만리 장천을 헤매는 기분이 들었다. 심지어 천길 낭떠러지가 도사리고 있는 지구별의 끄트머리로 향하는 심정에 사로잡혀 잔뜩 겁을 먹곤 했다.
그러나 길고 고된 여로의 끝에 다다른 외갓집은 다른 세상이었다. 늘, 설화 속에나 등장하는 상서로운 외딴 섬의 풍광으로 들뜬 어린 아이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건 지독한 멀미와 막막한 지루함으로 점철된 고행 길을 얼마든지 보상받고도 남을만한 값어치있는 시간여행처럼 느껴졌다. 어쩌면 그토록 다가가기 힘든 먼 곳에 떨어져 있었기에 더욱더 간절히 ‘그곳에 가고싶’어했다. 내 유년의 이상향이 바로 외갓집이었던 것이다.
어머니를 닮은 외할머니, 외할머니를 닮아있는 외할아버지, 어머니처럼 생긴 외삼촌과 이모들, 형제나 자매같이 낯익은 외사촌들, 외갓집 마당을 닮은 논과 밭, 외갓집 기둥을 닮은 뒷마당 대나무, 외갓집 반찬거리를 닮은 뒷산과 앞들의 야생초들, 외갓집 초가지붕을 닮은 뒷산 양지바른 곳 조상님의 무덤들, 외갓집에서만 맡을 수 있는 수상하게 맛있는 여러 가지 냄새들, 그리고 분명히 남인데도 가까운 친척인양 반갑고 따뜻하게 맞이해주던 시골마을의 순박한 사람들의 따뜻한 온기.
지금 농촌마을에는 빈집이 넘쳐난다. 농식품부의 농촌빈집실태조사에 따르면 5~6만여동에 이른다고 한다. 농사를 지어서 먹고 살기 힘들거나, 늙어꼬부라져셔 더 농사 지을 힘이 없는 농민들의 이농, 폐농으로 폐가나 흉가로 전락해가고 있다. 빈집이 많아지니 마을도 덩달아 점점 비어간다.
그런데 빈집의 문제는 그 마을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농촌의 문제로만 끝나지 않는다. 이게 사실 더 큰 문제다. 농촌이 비어가는 동안 도시는 힘겹게 터져나가기 때문이다. 지나치게 많은 사람들과, 지나치게 많은 집들과, 지나치게 심한 생존경쟁으로, 도시의 삶은 숨이 막힌다. 도시민들은 도시를 벗어나려 아우성을 치고, 떠나온 고향마을이 그리워 흐느끼며 산다.
지금 우리가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 머지않아 우리 농촌마을의 외갓집은 모두 빈집이 되고만다. 그 누구도, 다시는, 농촌마을로 돌아가지 못한다. 그리운 외갓집을 찾아가지 못하게 된다.
군위군민이 대구광역시민으로 바뀌어
지난 1일, ‘경북 군위군’이 대한민국 지도에서 사라졌다. 정확하게는, 경북도에서 대구광역시로 행정관할구역이 변경된 것이다. 군위군은 인구소멸 위험지수 0.11로 전국 1위를 기록한 지자체다. 소멸위험지수는 65살 이상 노인 대비 20~39살 가임여성의 비율을 따져 산출한 지수를 말한다.
지자체 자체가 소멸하기 전에, 군위군 전체가 빈집이 되기 전에 나름대로는 특단의 조치를 감행한 셈이다. 경북 군위군에서 대구시 군위군으로 변경되고 나니 변하는 게 많다. 지역전화번호는 054를 유지하지만 국가기초구역번호(우편번호)는 43100으로 바뀐다.
대구시의 어르신 대중교통 통합 무임승차 제도의 혜택을 군위군의 어르신들도 당연히 함께 누린다. 환승무료제에 따라 군위군 농어촌 버스와 대구광역시 대중교통 노선 간 환승서비스도 가능하다. 급행시내버스 노선도 따로 신설된다. 택시운행도 대구광역시 요금 기준으로 통합, 군 내에 적용됐던 복합할증이 해제된다. 택시요금 부담도 줄어드는 것이다..
광역시로 편입되지만 농업분야의 보조사업 지원은 기존 수준으로 지속된다. 법적 근거인 ‘대구광역시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지원에 관한 조례’를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자체 농민수당 조례 개정을 통해 농민수당도 현재와 동일한 수준(가구당 60만원)을 유지한다. 농업유통체계도 자연스레 군위군의 산지와 대구시의 소비자간 유통단계와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도 기대된다. 군위농민들이 대구시민이 되지만 농사를 짓는데 불이익이나 손해를 보지 않는 셈이다.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농어촌학교에 해당하기 때문에 농어촌특별전형도 그대로 유지 된다. 삼국유사 등 군위군의 특별한 관광자원을 바탕으로 대구시 연계프로그램을 개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관광발전고 꾀한다. 이밖에, 각종 경조사, 의료보건 관련 관련 수당, 보험, 축하금 등의 복지서비스도 수혜범위와 수준이 광역시에 걸맞게 높아질 전망이다.
그러나, ‘경북 군위군’은 소멸했다
이처럼 군위군은 전국 1위 인구소멸 위험지역에서 3대 광역시로 도농복합지역으로 변신했다. 소멸위기에서 겨우 벗어난 군위 지역주민들의 기대도 크다고 한다. 농업, 관광 등 대부분 분야의 시장이 확대될 뿐 아니라, 신공항 에어시티 국제공항도시, 미래모빌리티, 인공지능, 스마트농업 등 첨단 산업인프라를 조성하면 경제 지형까지 바꿀 수 있다는 야심찬 미래청사진을 펼쳐보이고 있다.
반면, 우려와 걱정이 없는 건 아니다. 대구시 편입 전의 군위군은 고령인구 비율 전국 1위, 인구소멸위험지수 전국 1위, 경북도 재정자립도 최하위라는 ‘3관왕의 멍에’를 안고 있는 취약한 지자체였다. 대구공항 이전이라는 정책적 명분과 실익에 매달려 인구 2만3000여명의 군위군의 부채와 숙제를 대구시가 일단 떠안은 게 아니냐는 비판적 여론도 적지 않다.
대구시는 2030년 군위 소보면·의성 비안면 일대에 들어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개항에 총력을 경주하고 있다. 군위군을 미래첨단산업단지와 에어시티(국제공항도시)를 결합한 교통물류 중심도시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군위군의 사례는 지역소멸의 위험으로 내몰린 우리 지역, 지자체에 시사하는 바가 가볍지 않다. 소멸위험을 피하는 실질적인 해법과 출구를 제시하는 의미와 효과도 있을지 모른다. 다만, ‘경북 군위군’을 고향으로 삼고 살아온 출향인들은 그리운 고향, 따뜻한 외갓집으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건 확실하다.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필자소개>
정기석(tourmali@hanmail.net)
전국퇴직금융인협회 금융시장연구원 연구위원
경상국립대 창업대학원 6차산업학과 비전임교원
前 국회정책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