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상승, 부실위험 경고등…올해 말 1% 전망
[서울이코노미뉴스 김보름 기자]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하단이 약 1년 만에 연 3%대로 내려앉았다.
시장(채권) 금리 하락과 정부의 금리 인하 압박이 맞물린 결과다.
채권금리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긴축 속도를 조절할 것이란 예상에 따라 떨어지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달 31일 기준 혼합형(고정) 주담대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66~5.856% 수준이다.
지난달 7일(4.66~6.43%)에 비해 금리 하단이 1%포인트 급락했다.
시중은행 주담대 혼합형 금리가 3%대에 진입한 건 지난해 2월 이후 1년여 만이다.
대출 금리를 끌어내린 건 금융채 금리다. 주담대 혼합형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융채 5년물(신용등급 AAA) 금리는 지난달 2일 4.564%에서 31일 3.953%까지 낮아졌다.
특히 미국 SVB 파산 사태를 기점으로 안전 자산 선호가 커지고, 국내외 긴축 기조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시장 금리 하락 속도가 빨라졌다.
채권 투자에 수요가 몰리면 가격은 오르고, 금리는 내려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은행들의 가산금리 인하 경쟁도 내림세를 부추기고 있다. 여기에는 “3년 후 금송아지가 아닌 당장 마실 물 한 모금이 필요하다”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압박도 영향을 끼쳤다.
주담대 금리의 경우 KB국민은행은 0.3%포인트, 신한은행 0.4%포인트, 우리은행은 최대 0.7%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도 연 3.50%인 한은 기준금리를 밑돌고 있다. 은행연합회 집계 결과 4대 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금리(1년 만기 기준)는 연 3.40~3.54% 수준에 그쳤다.
문제는 연체율 증가다. 누적됐던 금리인상 충격이 이제야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다.
5대 시중 은행의 신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1월 0.04%에서 연말 0.07%까지 올랐고, 지난 2월에는 0.09%까지 치솟았다.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한 가계와 기업이 다달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서 2021년 말 0.52%였던 가계대출 연체율이 점점 늘어 올해 말 1%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2020년 4월부터 이어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부실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연체율을 주의 깊게 보면서 금리안정 조치를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다시 가파르게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