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의 ‘착한 송년회’는 매우 바람직한 사회적 현상
연말의 ‘착한 송년회’는 매우 바람직한 사회적 현상
  • 조석남
  • 승인 2022.11.16 09:28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려운 이웃 생각하고 새 희망 품는 경건한 연말...남아있는 시간들 알차게 보내며 새 희망 품는 시간이 돼야

[조석남의 에듀컬처] 바야흐로 ‘송년회’ 시즌이다. 종전에는 12월에 집중돼 있던 송년회가 올해는 본격적인 대면모임의 재개 탓인지 11월이 가기도 전에 일찌감치 포문을 열고 있다.

세계 어느 나라든 송년모임이 있지만 우리는 좀 유별나다. 간단한 저녁식사 후 공연이나 영화 보기, 불우이웃 돕기 같은 색다른 송년회가 없는 건 아니지만 여전히 ‘먹고 마시기’가 대세다. 물론 정다운 사람끼리 일년의 회포를 푸는 것도 좋다. 다만 그 정도가 지나치면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내일이 없는 것 같은 행동은 본인에게는 물론 주위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주기 마련이다.

일본 사람들은 연말을 친구나 친지들과 어울리며 요란하고 떠들썩하게 보내는 풍습이 있었다. 이 풍습이 ‘망년회’로 정착됐다. 우리는 달랐다. 연말이 되면 시끄럽기는 커녕, 오히려 지나간 해를 반성하고 근신하면서 조용하게 보냈다. 일본 사람들은 ‘망년(忘年)’이었지만, 우리는 ‘수세(守歲)’였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망년회라는 게 없었다. 그런 용어 자체가 없었다.

우리는 새해의 첫날인 설날도 ‘신일(愼日)’이라고 했다. 설날 역시 근신하며 보내는 날이었다. 새해가 되면 첫 쥐의 날(子日)과 돼지의 날(亥日)에는 특히 근신했다. 쥐나 멧돼지 따위가 농작물을 해치지 말아달라고 기원하는 날이었다.

이처럼 연말을 조용하게 보냈던 우리가 망년회를 알게된 것은 일제 때였다. 일본 사람들의 망년회는 점차 우리에게도 퍼지게 됐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일본식 표현이 불편했던지 이름만 ‘송년회’로 변했을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착한 송년회’는 매우 바람직한 사회적 현상이다. 유난히 사건·사고가 많았고, 경제적으로도 힘든 시기였던게 올해여서 더욱 그렇다. 먹고 즐기는 것보다 좀 더 뜻 깊은 송년회를 한다는 것은 배려와 나눔의 실천이나 마찬가지다. 이같은 일을 하는 사람도 따로 있는 건 아니다. 꼭 내세우고 결심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보통사람들이면 누구나 할 수 있다. 직장이나 단체, 조직이 추진하면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실천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연말 송년회 대신 회사 동료들과 나눔·봉사 활동을 하는 것도 이러한 작은 실천이다. 마음을 열고 내 안에 가득 차 있던 욕망 덩어리를 조금 비우고 이웃을 돌아보는 배려의 마음으로 실천한다면 사랑의 온도계 눈금도 그만큼 올라갈 게 분명하다.

한 해를 보낸다는 의미가 저마다 다르겠지만 각자의 마음 속에 담긴 지난 해의 아쉬움과 새해에 대한 희망은 모두 같을 것이다. 잔에 술을 채우듯 지난 해의 모자람은 또 채우면 되고, 건배사를 외치듯 희망은 더욱 힘차게 솟아오르게 하는 것이 ‘송년회’의 진정한 풍경이 아닌가 싶다.

송년회에서 많이 나오는 얘기 중의 하나가 ‘고생하셨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이다. 어렵고 고된 일로 한 해를 보내며 애썼다는 뜻인데 참 따뜻한 격려의 말인 것 같다. 되돌아보면 세상일이 어찌 고되고 힘들지 않은 것이 있겠는가? 어려움을 극복하며 아픈 마음을 다스리고 살다보면 좋은 일도 생기고 기쁨도 배가되는 것 같다. 그래서 송년의 의미가 더욱 크다.

내년은 더 힘들 것이라고 한다. 우리에게 닥친 국내외 여건이 어느 것 하나 녹록지 않아서다. 그런 때일수록 저마다 선 자리에서 마음을 다잡고 맞서는 게 중요하다. 어떻게든 견뎌내다 보면 어김없이 봄은 온다.

그동안 우리가 헤쳐온 험하고 팍팍한 세월을 돌이켜보면 지금은 그래도 살 만한 세상 아닌가. 바라건데 이번 연말, 이번 송년회는 한 해가 가버린다고 아쉬워하기보다는 남아있는 시간들을 알차게 보내며 새로운 희망을 품는 그런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필자 소개>

조석남 (mansc@naver.com)

- 극동대 교수

- 전 한국폴리텍대학 익산캠퍼스 학장

- 전 서울미디어그룹 상무이사·편집국장

- 전 스포츠조선 편집국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