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재 칼럼] 근래 우리 사회 갈등 이슈 가운데 급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성별 갈등이 있다. 가부장제에 기반한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 양성평등 사회로 가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겪을 수밖에 없는 과도기적 현상이긴 하지만, 갈등의 국면이 갈수록 날카로워져 우려를 낳는다. 최근에는 정치권에서도 여성가족부 폐지를 의제화함으로써 여기에 기름을 붓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직은 때가 아니라는 반대도 있고, 문제가 있다면 개선할 생각을 해야지 곧장 폐지를 주장하는 것은 특정 유권자층의 이해에 영합하려는 행태라는 비판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유권자층이란 잘 알려진 대로 ‘이대남’이라 통칭되는 20·30대 남성들을 가리킨다. 이들은 자신들의 삶의 현장 곳곳에서 여성이 아니라 이제는 거꾸로 남성이라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느끼는 듯하다.
따라서 작금의 성별 갈등을 풀어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들 이대남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을 완화시킬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다음 두 가지 문제에 관한 한 이대남들의 사고 전환도 필요해 보인다.
윤리적 책임의 범위
이대남들이 느끼는 박탈감은 이렇게 요약될 수 있을 듯하다. 예전에는 남녀간 불평등이 일상적이었음을 인정한다. 그러나 지금은 학교에서는 물론이고 취업 전선에서도 단순히 ‘여성’이라는 이유로 불이익을 받는 일은 거의 없다. 오히려 불이익을 당한 것은 남성들이다. 사회적 소수자라는 우산 아래 여성할당제와 같은 갖가지 여성우대 정책들이 폭넓게 작동하고 있는 것이 증거다.
이대남들의 이런 불만은 충분히 이해가능하다. 부모 세대와 달리 적어도 이들 세대에서는 남녀간 차별이 급격히 줄어들거나 해소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대남으로서는 “우리사회의 남녀차별 문화는 부모세대의 책임인데 개선을 위한 역차별의 짐은 왜 우리가 짊어져야 하는가?”라고 억울함을 토로할 법도 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사회의 남녀 임금격차는 OECD 가운데 최악이고, 유리천장 지수도 최하위이며, ‘독박 육아’와 ‘경단녀’는 여전히 남성과는 무관한 단어들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한다.
이에 대해, 그것은 결자해지 차원에서 부모세대가 책임질 일이지 우리 젊은 세대와는 무관하다고 해야 할까? 그렇다면 우리는 왜 일본에게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를 끊임없이 요구할까?
식민지배는 지금을 사는 일본 젊은이들의 조부모 세대가 저지른 범죄다. 따라서 같은 논리라면 우리는 일본의 젊은이들에게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를 요구할 수 없다. 우리사회의 남녀차별은 집단적이며 역사적인 유산이다. 세대를 불문하고 한국인인 이상 우리 모두는 그 유산에 대해 일정한 책임이 있다. 윤리적 책임의식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집단적·역사적 차원에서도 요구되는 인간다움의 근본 덕목이기 때문이다.
보복적 공정이 아닌 상생적 공정을
일부 이대남들 사이에서 남녀평등을 단순히 기계적 평등으로 치환시켜 양성평등의 취지를 왜곡하는 주장이 개진되는 것도 우려스럽다. 남녀평등을 주장하려면 여자도 군대를 가야 한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것은 언뜻 공정한 요구처럼 들리지만, 이는 상생적 공정이 아니라 내가 겪는 일은 너도 똑같이 겪어야 한다는 심리에 뿌리를 둔 보복적 공정일 뿐이다.
설령 이것이 공정에 대한 합당한 주장이라 하더라도, 왜 하향평준화의 방향으로 그 공정의 추가 움직여야 할까? 지원병제도나 대체복무 등 병역제도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활성화시켜 군대를 가지 않음으로써 여성이 얻는 편의를 남성도 누리게 하는 방향으로 발상의 전환을 하는 게 더 생산적이지 않을까?
양성평등이 가야 할 길이라면 그것은 서로 끌어내림으로써가 아니라 서로 끌어올려 줄 때 도달된다는 점을 늘 생각했으면 한다. 그렇게 하여 우리 사회의 이대남들이 남녀차별 세대의 막내가 아니라 양성평등 세대의 맏형으로 설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칼럼은 다산칼럼의 동의를 얻어 전재한 것입니다.
필자소개
|
http://blog.daum.net/macmaca/733
http://blog.daum.net/macmaca/2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