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IT 강자 다음카카오의 '비빌 병기'는?
새 IT 강자 다음카카오의 '비빌 병기'는?
  • 정우람 기자
  • 승인 2014.05.28 00:19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카톡 대화창을 검색 창 사용 ..게임, 송금 등 '시너지 효과' 무한

카카오다음의  '새로운 IT 서비스'는 어떤 모습일까?

국내 1위 모바일 플랫폼 카카오가 전통의 PC 온라인 사업자 다음커뮤니케이션을 흡수하면서 인터넷 패러다임에 일대 변화가 올 전망이다. 양사가 각자 가진 트래픽과 모바일 검색, 콘텐츠 공급력을 합치면 새로운 모바일 서비스의 장을 열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의 관심은 통합법인 다음카카오가 내놓을 차기 서비스다. 예컨대 모바일 검색의 장을 포털이 아닌 카카오톡으로 옮겨올 수 있다. 포털만 검색 창구로 활용하는 시대는 지났다. 

카카오의 가장 큰 위력은 누가 뭐라 해도 3천500만 국내 이용자를 업은 '카카오톡(이하 카톡)'이다. 세계로 따지면 이용자가 1억4천만명이다. 하루 1억개의 대화창이 열리고 65억개의 '톡'이 오간다. 이를 단순 환산하면 최소 하루 2억명 넘는 사람들이 카톡을 통해서 일상과 정보를 주고받는다는 계산이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카톡 친구목록 페이지와 카톡 대화방이다. 목록 상단, 또는 대화방 상단에 조그만 검색 박스가 들어간다면. 친구들끼리 관심사를 얘기하다 궁금한 것은 곧바로 상단의 박스에 검색할 수 있다.

검색 창에서 엔터를 치면, 곧바로 다음 모바일 웹페이가 연동되면서 그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대화하다 궁금한 것을 찾기 위해 다시 인터넷 창을 열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다음은 현재 모바일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는 물론, 구글에도 밀리며 고전 중이다. 카카오 대화 트래픽을 고려한다면 이같은 결합은 모바일 검색과 광고 시장에서 다음의 존재감을 확실하게 재각인 시킬 수 있다. 이미 인터넷 패러다임이 PC온라인에서 모바일로 넘어온 상황에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창구가 곧 포털의 입구가 될 수 있다. 

카카오가 준비 중인 뉴스 서비스도 이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대화창 상단에 '오늘의 주요 뉴스' 또는 '오늘의 웹툰' '오늘의 톡' 같은 읽을 거리들을 배치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이 경우 검색 서비스는 물론 뉴스, 웹툰, 각종 블로그와 콘텐츠 등 그간 네이버가 강점을 가지고 국내 1위를 수성해왔던 부문에서 다음이 그 아성을 무너뜨릴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카카오 기업 가치를 키운 것은 8할이 게임이다. 이용자 기반만 닦고 수익을 내지 못했던 카카오를 2조원 기업 가치 회사로 키운 데는 '카카오 게임하기'의 성공이 바탕이 됐다. 다음카카오 출범으로 업계는 새로운 게임 플랫폼의 탄생도 기대하고 있다.

PC온라인 게임에서 강점을 보이는 포털 다음과 모바일 게임의 최강자 카카오가 합쳐지면서 새로운 게임 플랫폼 탄생이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예상이다. 

카카오가 상반기 중 출시 예정인 송금 서비스 '뱅크월렛'도 모바일 상거래에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카카오는 현재 우리·KB국민·NH농협은행 등 15개 은행, 금융결제원 등과 함께 카카오톡을 통해 소액을 주고받는 송금서비스 시범 사업을 논의 중이다. 우선은 10만원 한도의 소액을 카톡 대화방을 통해 송금할 수 있는 내용이다. 최대 하루 30만원 충전, 50만원까지 사이버머니로 보관할 수 있게 할 가능성이 높다.송금 서비스가 되고 나면 이를 전자상거래 부문으로 확장할 수 있다.

카카오는 현재 게임하기, 아이템스토어, 선물하기, 카카오페이지, 카카오스토리 등에서 사이버머니를 통한 상품 거래를 하고 있다. 다음 역시 쇼핑하우를 운영하며 모바일 상거래를 주요 사업 동력으로 삼고 있다. 카카오의 전자지갑이 상거래 사업과 결합할 경우 그 파급력은 더욱 커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