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는 10개월째 ‘내수 부진’ 판단…‘엇박자’ 이어져
[서울이코노미뉴스 김준희 기자] 정부가 수출 중심의 경기 회복세를 강조하며 내수가 회복 조짐을 보인다는 평가를 다섯 달째 이어갔다.
다만 내수 전 분야 확산 속도는 기대에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역성장한 상황을 반영한 해석으로 여겨지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3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안정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견조한 수출·제조업 중심 경기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설비투자·서비스업 중심 내수 회복 조짐 속에 부문별 속도 차가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지난달에 이어 '수출·제조업 중심의 경기 회복'과 그에 따른 '완만한 내수 회복 조짐' 평가를 유지한 것이다.
다만 '부문별 속도차'를 언급한 것은 수출 호조에 따른 경기 선순환 효과가 기대에 못 미친다는 점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정부의 '내수 회복 조짐' 진단은 다섯 달째 계속되고 있지만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외부의 평가와는 온도 차가 여전하다.
KDI는 지난 9일 발표한 '경제동향' 9월호에서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기조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경기 개선이 제약되는 모습"이라며 10개월째 내수 부진 판단을 내렸다.
7월 주요 내수지표 중 하나인 소매판매는 1년 전보다 2.1% 줄었다.
백화점·마트 등 카드 승인액과 자동차 내수 판매량은 긍정적 요인이었지만 소비자 심리지수 하락(-2.8p) 등은 부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다른 내수 지표인 건설투자도 토목공사 실적 부진으로 5.3% 감소했다. 건설수주 증가는 중장기 건설투자에 긍정적, 낮은 수준의 아파트 분양 물량은 부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지적됐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2.2%)과 설비투자(18.5%)는 증가세를 보였다.
서비스업의 경우 고속도로 통행량, 차량연료 판매량 증가는 긍정적 요인으로, 주식 거래대금 감소는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됐다.
대외 여건과 관련해 정부는 교역 개선, 주요국 통화정책 기조 전환 등으로 회복세지만 지역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지역 분쟁 확산,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 등 불확실성이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석 민생안정 대책의 주요 정책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역동경제 로드맵 추진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