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정부가 부동산에 치우친 고령층의 가계 자산을 유동화하기 위해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을 본격 추진한다.
2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024년 세법 개정안에 이런 내용의 부동산 양도금액 연금계좌 납입시 양도소득세 과세특례가 신설됐다.
앞서 '사회이동성 개선방안'에서 발표한 '부동산 연금화 촉진세제'의 세율과 기한 등 내용을 구체화한 후속조치다.
정부는 부부합산 1주택 이하인 기초연금 수급자가 10년 이상 보유한 주택·토지·건물을 팔고 연금계좌에 납입하면, 최대 1억원에 대해 10%를 양도소득세에서 세액공제 해주기로 했다.
양도일로부터 6개월 이내 납입해야 적용된다. 연금 수령외의 방식으로 중간에 전부 또는 일부를 인출할시 세액공제액은 추징된다.
정부는 내년 1월이후 양도하는 분부터 오는 2027년 말까지 3년간 제도를 운용할 방침이다.
기재부는 "고령화에 대응해 부동산 연금화와 노후생활 안정을 지원하겠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주택·농지연금과 부동산 신탁·리츠(REITs) 활성화, 관련세제 등 고령층 부동산 유동화 촉진을 위한 연금상품 개발 연구용역도 하반기 추진할 계획이다.
조기퇴직과 연금제도 미성숙 등으로 고령층 소득은 감소하는 한편 건강 유지·의료비용 부담 등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게 정부의 문제인식이다.
연금 소득대체율은 저소득층 50.9%, 전체 31.2%로 나타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저소득층 64.5%, 전체 51.8%에 크게 못미친다.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가구의 연평균 의료비는 약 334만원으로, 연평균 소비지출의 15.5%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체 가계 자산 중 고정자산 비중이 3분의 2가량에 달하는데, 이를 유동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현금흐름이 급격히 악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에 따르면 고령층 자산을 연금화할시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14.2%포인트(p) 낮아질 것으로 추정됐다.
고령층 일부는 낮은 소득으로 인한 빈곤을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활용해 벗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KDI는 앞서 "저소득-고자산 고령층은 주택·농지연금 등의 정책을 활용해 빈곤층에서 탈출할 수 있다"며 "앞으로 노인 빈곤완화 정책은 선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에 집중해 이들을 더 두텁게 지원하는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