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동결,인하 9월도 불투명…한은,4분기나 내년 낮출 듯
미국 기준금리 동결,인하 9월도 불투명…한은,4분기나 내년 낮출 듯
  • 연합뉴스
  • 승인 2024.06.13 10:50
  • 댓글 0
  • 트위터
  • 페이스북
  • 카카오스토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말 美 금리 전망치 4.6→5.1%…3월보다 오히려 0.5%p 올라
전문가들 "한은,환율 등 고려할 때 연준보다 먼저 내리기 어려워"
제롬 파월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2일(현지시간) 여전히 통화정책 전환(피벗)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도 일러야 4분기, 경우에 따라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이나 한국 아직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목표수준(2%) 안착에 대한 확신이 부족해, 고물가 시기의 마지막 국면(라스트 마일)에서 성급하게 금리를 낮췄다가 물가안정기 진입자체가 무산될 위험을 우려하고 있다.

◇점도표상 美 연내 인하 1∼2회 그칠듯…파월 "인플레이션 압박 여전히 커"

연준은 11∼12일(현지시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5.25∼5.50%로 동결했다. 

여전히 한국의 기준금리 3.50%보다는 2.00%p 높은 수준이다.

연준은 앞서 지난해 6월 약 15개월 만에 금리인상을 멈췄다가 7월 다시 베이비스텝(0.25%p)을 밟았지만, 이후 9·11·12월과 올해 1·3·5월에 이어 이번까지 일곱차례 연속 금리를 묶었다.

이날 공개된 새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에서는 올해 말 금리전망치 중간값이 5.10%로 제시됐다.

지난 3월 회의당시의 4.60%보다 0.50%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현재 금리수준을 고려할 때 연내 인하 예상횟수가 세차례(0.25%p씩)에서 한두차례로 줄어든 셈이다. 

위원 19명 가운데 4명은 아예 올해 인하가 없을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시장이 기대하는 연준 피벗시점도 당초 9월에서 연말에 가까운 11월 또는 12월로 늦춰지는 분위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이날 발표된 5월 소비자물가 지표(전년동월대비 3.3%)에 대해 기자회견에서 "좋은 수치지만 아주 좋지만은 않다"며 "우리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인 2%로 내려온다는 확신없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고 밝혔다.

아울러 "인플레이션 압박이 줄었지만, 여전히 크다"며 "인플레이션 압박이 줄어 노동시장이 균형을 잡아가고 있지만 임금은 여전히 지속가능한 경로 이상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도 했다.

이창용 총재

◇이창용 총재도 "섣부른 피벗 정책비용 더 커…인내심 갖고 충분한 긴축"

물가와 금리에 대한 이런 연준의 시각은 최근 한은의 인식과 거의 같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12일 창립 74주년 기념사에서 "완화 기조로의 섣부른 선회이후 인플레이션이 불안해져 다시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그때 감수해야 할 정책비용은 훨씬 더 클 것"이라며 "따라서 물가가 목표수준(2%)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현재의 통화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수회복세 약화·연체율 상승 등 피벗이 너무 늦을 경우 예상되는 위험과 환율변동성·가계부채 증가세 확대 등의 조기 피벗 부작용을 모두 거론하며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에서 마지막 구간에 접어든 지금, 이런 상충관계를 고려한 섬세하고 균형 있는 판단이 필요하다. 로마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천천히 서두름(Festina Lente)'의 원칙을 되새길 때"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전년동월대비)은 2∼3월 3%대에서 4∼5월 2%대 후반(4월 2.9%·5월 2.7%)으로 내려왔지만, 5월 농산물 물가는 19.0%나 치솟고 석유류 상승률(3.1%)도 지난해 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등 여전히 불안한 상태다.

원달러 환율도 지난달 중순 미국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가 약해지고 이란·이스라엘 무력 충돌까지 발생하자, 약 17개월 만에 1,400원대까지 뛰었다가 최근 1,370∼1,380원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올해 초 다소 주춤했던 가계대출 증가세도 다시 강해지고 있다. 5월 가계대출은 주택거래 증가와 함께 6조원이나 또 불었다. 지난해 10월(+6조7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이런 불안요소를 고려해 7월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다시 현 수준(3.50%)에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측대로 실행되면 지난해 2월 이후 12연속 동결이다.

◇전문가들 "한은,4분기 한차례 내리거나 내년 인하"

전문가들도 대부분 한미 중앙은행이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연준은 일러야 9월이후 한두차례, 한은은 4분기 한차례 정도 낮추고 해를 넘기는 시나리오가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다.

심재찬 NH금융연구소 책임연구원은 "미국은 아직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통화량에 대한 통제를 자신하지 못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문제에 뚜렷한 진전이 없다면 미국의 금리인하는 어렵고, 따라서 9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에 대해서는 "미국이 인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선제적으로 낮추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먼저 내리면 환율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형중 우리은행 투자전략팀장도 "한은이 서둘러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이유가 많지 않다"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2% 중반까지 높아진데다, 물가는 여전히 안정목표(2%)를 웃돌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인하시점에 대해서는 "미국이 인하에 나선다는 가정아래 한은도 올해 4분기 인하가 유력하나, 물가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는다면 올해 인하가 없을 가능성도 상당하다"고 덧붙였다.

장미란 하나은행 도곡금융센터지점 VIP PB(프라이빗뱅킹)부장은 "미국과 한국 모두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금리인하 시점이 늦춰지고 있다"며 "미국 연준은 연내 1∼2회, 한은은 연준 인하후 1회 정도 낮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과의 금리차, 환율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이 미국보다 먼저 내리기는 어렵다"며 "연준은 9·12월 두번 내리거나 11월 한번 내릴 가능성이 크고, 한은은 4분기에 한차례 인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선미 KB골드앤와이즈 더퍼스트 반포센터 PB팀장은 "유럽중앙은행(ECB)가 금리를 먼저 낮췄지만, 고용상황 등으로 미뤄 미국은 9월 이후에나 인하가 가능할 것"이라며 "한은의 경우 불안한 외환시장, 수입물가 상승 등을 고려해 미국보다 인하시점을 더 늦출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주)서울이코미디어
  • 등록번호 : 서울 아 03055
  • 등록일자 : 2014-03-21
  • 제호 : 서울이코노미뉴스
  • 부회장 : 김명서
  • 대표·편집국장 : 박선화
  • 발행인·편집인 : 박미연
  • 주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58, 1107호(여의도동, 삼도빌딩)
  • 발행일자 : 2014-04-16
  • 대표전화 : 02-3775-4176
  • 팩스 : 02-3775-4177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미연
  • 서울이코노미뉴스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서울이코노미뉴스. All rights reserved. mail to seouleconews@naver.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