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무여건 임금으로 환산하면…소득불평등↑·남여 임금격차↓
[서울이코노미뉴스 한지훈 기자] 임금 이외 유연한 근무조건이나 발전 가능성 등의 근무여건(job amenity)이 좋은 직장에 젊은 여성 고학력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종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 근무여건을 임금으로 환산할 경우, 우리 사회의 소득불평등은 더 심해지지만, 남·여 임금 격차는 오히려 줄었다.
한국은행이 23일 공개한 '근무여건 선호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활동인구조사 임금근로자 부가조사에서, 직업 선택시 고려사항으로서 근무여건의 비중(31.5%)은 임금수준(26.8%)을 크게 웃돌았다.
이에 따라 한은은 △유연근무 △재택근무 △육체적 강도 △업무강도 △자율성 △독립성 △발전 가능성 △직업보람을 근무여건을 구성하는 8개 요소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업별 근무여건지수를 산출했다.
분석결과 법률·감사 사무종사자, 상품기획·홍보·조사 전문가, 법률전문가, 디자이너, 기타 교육전문가, 작가 및 언론 전문가, 대학교수·강사, 의회 의원과 고위공무원, 종교종사자 등이 근무여건 상위직업으로 분류됐다.
반대로 건설·광업 단순종사자, 물품 이동장비 조작원, 건설·채굴기계 운전원, 하역·적재 종사자 등은 근무여건 하위직업군에 속했다.
성·연령·학력수준별 근무여건 지수를 비교하니 여성과 저연령층, 고학력자가 남성, 고령층, 저학력자보다 근무여건이 좋은 직업에 더 많이 종사하고 있었다.
이수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여성의 경우 육체적으로 힘들지 않고 유연한 근무가 가능한 일자리를 더 선호하기 때문"이라며 "아울러 고학력 근로자도 육체적 능력이 덜 필요한 인지적 일자리, 개인발전 가능성이 큰 전문직 일자리에 근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연령 특징에 대해서는 "고령층의 경우 근무여건에 대한 선호나 만족도는 높지만, 낮은 교육수준 등 때문에 취업계층에서 밀려 근무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종사하는 비중이 작았다"고 덧붙였다.
근무여건을 화폐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 소득/하위 20% 소득)이 4.0에서 4.2로 오히려 더 커졌다. 불평등 상황이 더 나빠진다는 뜻이다.
이는 고소득 근로자들이 근무여건도 좋은 일자리에 주로 종사하기 때문으로 한은은 풀이했다.
하지만 남성 대비 여성의 상대임금 비율은 70.5%에서 73.6%로 올라 성별 임금격차가 줄었다.
이 과장은 "여성들이 근무여건이 좋은 일자리에 더 많이 있을 뿐 아니라, 근무여건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경제활동인구에서 여성과 고령층의 비중은 점차 늘겠지만, 근무여건에 대한 이들의 선호를 고려하면 근무여건이 나쁜 일자리의 인력난은 더 심해질 것"이라며 "정책 지원 등을 통해 유연한 근무여건 등을 제공해야 이들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인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