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코노미뉴스 정우람 기자] LG화학의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 결정이 사전에 유출됐다는 논란이 확산되면서 해당 기업과 주주들은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현재 LG화학의 분사 결정에 반발하는 개미투자자들의 비판여론이 높아 관련 의혹 규명이 시급한 상황이다. ‘미공개 정보’의 사전 유출은 부정거래로 이어지거나 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본시장이 발달한 영미권에서는 내부자 거래를 ‘악질범죄’로 규정할 만큼 엄중하게 다루고 있다.
세계일보는 18일 현재로선 미공개 정보 중에서도 회사 분할이라는 공시 사안인 미공개 중요 정보, 그리고 공시와 함께 주가 하락이 예견되는 악재성 미공개 중요 정보가 사전에 유출된 것이 확실시 되는 단계라고 보도했다.
보도내용에 따르면 증언, 보고서 등 정황 증거를 종합하면 정보 확산 시점은 최소 공시 만 하루 전인 16일이고, 첫 전파는 그보다 앞선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전파 경로는 최소 두 갈래 이상이다. 하나는 LG화학→협력사, 다른 하나는 LG화학→애널리스트로 전달됐다는 증언이 있다.
이 신문은 16일 업계의 한 기업이 해당 루머를 접하고 애널리스트를 탐문해 공시 날짜, 내용, 향후 주가 예상을 간략히 담은 보고서를 경영진에 긴급보고한 사실도 확인됐다. 모두 16일 오후 첫 언론 보도가 나오기 전이다. 그리고 17일 오전 LG화학은 긴급 이사회를 열어 배터리 사업 물적분할 결의를 발표한다. 사전에 공유된 정보와 일치한다.
이에 따라 LG화학이 악재성 정보란 점을 판단하고 주가 급락이나 대량 매도 등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사전작업을 벌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16, 17일 증권사 대부분 보고서는 관련 보도에도 불구하고 매수를 권했다. ‘중장기 사업 경쟁력 확대 및 밸류에이션 회복에 단연 긍정적’, ‘주주가치 상향에 걸림돌이 될 요인은 없다’는 식이다.
주당 가격을 100만원까지 예측한 곳도 있다. 일부는 ‘SK와 배터리소송 합의금이 1조원으로 낮아질 수 있다는 뉴스 때문에 주가가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는 당황스러운 분석을 제기했다.
만일 사전에 물적 분할 정보가 기관투자자에게만 흘러들어갔다면 애꿎은 개미 투자자들만 손해를 보게 되는 셈
문제는 이번 LG화학의 물적 분할에 앞서 사전에 기관투자자들에게 정보가 흘러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최근 LG화학 증시 자료에 의하면 기관 투자의 경우 -1만523(9월1일), -5만6550(9월2일), -14만7471(9월4일), -7만782(9월7일), -5만8872(9월10일), -1만1294(9월14일) 등 지난 15일을 제외한 물적 분할 발표 전날이었던 16일(-5만9161)까지 계속해서 감소했다.
반면 개인 투자의 경우는 +5만863(9월1일), +7만8280(9월2일), +27만4554(9월4일), +18만9372(9월7일), +7만4730(9월10일), +1521(9월14일) 등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였다.
해당 자료를 분석해볼 때 LG화학이 해당 투자 기관들에 미리 정보를 흘려 매도를 도운 게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도 가능하다.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는 ‘조정 시 매수 전략이 유효하다’라고 권하는 증권사 보고서 글과 관련해 “개인에게 떠넘기려는 기관의 수작”이라는 댓글도 달리고 있다.
결국 사전에 물적 분할 정보가 기관투자자에게만 흘러들어갔다면 애꿎은 개미 투자자들만 손해를 보게 된 셈이다.
청와대 국민청원자는 “늘 LG는 ‘우리는 독립운동을 한 기업’이라고 하는데 그 부분은 박수 받아야 마땅하다”면서도 “하지만 이런 식으로 주주들 뒤통수를 친다면 독립운동 한 게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억울해했다.
이런 의혹에 대해 한국거래소 시장감시부는 “당장 판단이 어렵다”며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LG화학이 정보를 이용하게 한 의사가 확인되면 처벌 가능...거래소, "부정거래의 전형과는 거리가 있다"
한국거래소는 주식시장을 감시하다가 이상거래 정황이 포착되면 분석한 뒤 결과에 따라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에 조사를 의뢰하게 된다. 법률적으로는 △미공개 중요 정보 여부(악재·호재성 불문) △정보를 활용해 부정한 수익을 실현하거나 손실을 회피하는 데 이르렀는지가 관건이다.
LG화학이 정보를 이용하게 한 의사가 확인되면 이 또한 처벌될 수 있다. 한국거래소는 주가 변동, 투자자별 매매 동향 등을 봤을 때 부정거래의 전형과는 거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감시부 관계자는 “특정 시점에 매매가 몰린다거나 주가가 폭락하는 등 판단 근거들을 볼 때 LG화학은 애매하다”면서 “다만 첩보 등이 있으니 전체적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LG화학에 대한 개인의 순매수 규모는 6000억원 규모로 전체 종목 중 1위 수준으로 네이버(4134억원), 카카오(3956원), 카카오게임즈(3685억원) 등보다 액수가 크다.
이에 대해 LG화학 측은 “관련 보도가 있을 때마다 미확정 상태이고 확정되면 공시를 통해 밝힌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했다”며 “사전 유출은 있어서도 안 되고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차동석 LG화학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오후 증권사 애널리스트 및 투자자 대상 콘퍼런스콜에서 “IPO를 추진한다고 해도 1년가량 소요되고, 비중은 20~30% 수준으로 LG화학이 절대적 지분을 보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 사업을 분사한다 해도 그 지분은 어차피 LG화학이 가지고 있으니 기존 주주들이 피해를 볼 일은 없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