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1위의 위기에 항공업계, "무담보 저금리 대출·세금감면 등" 정부에 호소
[서울이코노미뉴스 신현아 기자]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항공업계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업계 1위인 대한항공마저 보유 현금이 바닥날 위기에 처했다.
코로나19로 사실상 하늘길이 막히면서 매출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국제선 운항이 중단돼 매출이 급감하자 유동성 확보가 어려워진 탓이다.
1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이 지난달 발행한 항공운임채권 자산유동화증권(ABS) 6228억원이 이달 내로 모두 소진된다. 항공기 리스비 등 한 달 고정비용이 4000억~5000억원인 데다 이달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규모만 2400억원이기 때문이다.
ABS는 기업이 미래의 이익을 담보로 발행한 채권으로 기업이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의 하나다. 통상 기업의 신용도가 떨어지면 조기 상환해야 할 가능성이 커진다. 대한항공은 평소 2조원가량을 ABS로 조달해왔다.
그런데 대한항공의 신용등급이 지난 10일 A에서 A-로 하향 조정됐다. 자금 상환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상황이다. 여기에 회사채와 ABS, 차입금 등 대한항공이 올해 안에 갚아야 할 금액은 4조원대에 이른다. 이중 상반기 내에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만 1조2000억원 규모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여객 매출 중 94%를 차지하는 국제선 노선의 운항이 대부분 중단돼 매출이 급감했다.
주간 900회가량 운항했던 것이 현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뉴욕 등 13개 노선을 주 50~55회 수준으로 줄었다.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지난달 여객 수송량은 전년 동기 대비 75.7% 감소한 데다 코로나 19 여파 속에서 그나마 선방한 화물 수송량도 16% 감소해 하락 국면을 면치 못했다.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경영 상황이 악화되자 대한항공은 자구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지만, 상황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실정이다.
앞서 대한항공은 전 직원 대상 6개월간 순환휴직을 실시하고, 임원진은 월 급여의 30~50%를 반납하기로 결정했다.
송현동 부지, 왕산마리나 등의 매각을 추진하는 등 현금 확보에 나서기도 했으나 당장 어려움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이다.
대한항공 등 항공업계는 "전체 항공사에 대한 무담보 저금리대출 확대와 채권에 대한 정부의 지급보증 등 대규모 정책자금 지원 확대는 물론 항공기 재산세 면제 등 각종 세금감면이 절실하다"고 정부에 호소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 19라는 외부요인으로 업계 자체가 공멸할 위기에 놓인 만큼 정부의 전향적인 태도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면서 “과거의 보수적인 시각으로만 접근하면 적절한 시기를 놓치고 항공사들의 줄도산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