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정씨(羅州鄭氏)의 시조 정해(鄭諧)는 고려 중엽 때 사람이다. 그의 증손 정가신(鄭可臣, 1224~1298)이 고려 고종 때 문과에 올라 수사도(守司徒)를 지낸 뒤 군기감에 추증되었다. 그 뒤 후손들이 나주에 정착하면서 나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정가신(鄭可臣)은 나주 사람으로 자는 남헌, 호는 설재(雪齋),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그는 전남 나주시 동강면 시중동(지금의 인동리)에서 향공진사(鄕貢進士) 정송수(鄭松壽)의 아들로 태어나 금안동에서 자랐다. 어려서 승려 천기(天琪)를 따라 상경하여 1259년(고려 고종 46) 문과에 급제하여 1277년 (충열왕 3) 보문각대제가 되고 정녕공에 봉해졌다.
이어 좌사의대부를 거쳐 1280년(충열왕 6) 승지가 되었다. 1284년(충열왕 10) 밀직학사로서 정조사가 되어 원에 다녀왔다. 1287년 감찰대부와 판삼사사를 역임한 후 1290년 (고려 충렬왕 16) 정당문학으로 사의(師儀)가 되어 세자를 따라 다시 원나라에 들어갔다. 그 후 성절사로서 3차례 원나라에 다녀왔으며 첨의찬성사, 세자이사가 되었다. 특히 그는 명문장가로서‘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을 저술하기도 했다.
정 지(鄭地, 1347-1391)는 고려의 무신이다. 1374년(공민왕 23) 중랑장으로 왜구를 평정할 방책을 왕에게 올려 전라도 안무사가 되었다. 1377년(우왕 3) 순천도병마사가 되어 순천, 낙안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소탕했다. 1388년 요동 정벌 때는 안주도 도원수로 출전했다가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때 공을 세워 2등공신이 되었다.
정가신의 증손인 정 초(1344~1423)는 1405년(태종 5)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교리, 호조판서를 지냈다. 정가신의 5세손 정 식(1407~1467)은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우승지, 함길도도관찰사를 거쳐 여진족 정벌에 공을 세워 자헌대부에 올랐다. 그후 병조참판으로 초기 군사제도 확립에 기여했으며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예조판서를 지낸 정 국(鄭菊)과 이조정랑을 지낸 정 심(鄭諶, 1520~1602), 부사를 역임한 정상(鄭詳.1533~1609), 임진왜란 때 용맹을 떨쳐 비장군(飛將軍)으로 일컬어진 정여린(1564~1640) 등도 있다. 가의대부에 올라 사정(司正)과 용양위부호군을 지낸 정기수와 수군방어사를 지낸 정봉수, 병조참판에 추증된 정 응(鄭應), 정 란(1583~1656), 정 눌(鄭訥) 등도 가문을 대표하는 후손들이다.
현대 인물은 정광훈(JMI회장, 나주정씨(羅州鄭氏)대종회장), 정승조(37대합참의장), 정병길(농협지점장), 정종연(시인), 정기수(함평향교전교), 정수(공군준장), 정기승(스마트저축은행장, 금융감독원은행감독국장), 정병재(서울금천구의회의원), 정철주(전남무안군기초의원), 정진호(변호사), 정경현(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장), 정광춘(잉크테크대표), 정선재(인천지검 부천지청검사), 정광주(한국미술협회 광주시지회장), 정대연(아동문학가, 한국문인협회부이사장), 정성진(육군권율부대장, 제60사단장) 씨 등이 있다. 정광훈씨는 광디스크 및 디스플레이 전문업체 제이엠아이(JMI) 회장으로 있으면서 대종회 발전은 물론 고향 인재 양성에 앞장 서고 있다. (무순, 전·현직 구분 안 됨)
본관 나주는 전라남도 나주시의 지명이다.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리었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이 되었다.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 光州)의 관할로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고려와 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 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항렬표(行列表)는 28세 균(均) 연(衍), 29세 종(鍾) 무(茂), 30세 수(洙)범(範), 31세 상(相) 광(廣), 32세 렬(烈) 기(奇), 33세 재(在) 희(喜), 34세 호(鎬) 규(揆), 35세 영(永), 36세 식(植), 37세 대(大), 38세 규(奎) 이다. 주요파는 호군공파, 소윤공파, 상서공파 등이다.
나주 본관 성씨는 나주강씨(羅州姜氏), 나주김씨(羅州金氏), 나주나씨(羅州羅氏), 나주내씨(羅州奈氏), 나주노씨(羅州盧氏), 나주독고씨(羅州獨孤), 나주류씨(羅州柳氏), 나주문씨(羅州文氏), 나주박씨(羅州朴氏), 나주방씨(羅州方氏), 나주배씨(羅州裵氏), 나주백씨(羅州白氏), 나주서씨(羅州徐氏), 나주성씨(羅州成氏), 나주손씨(羅州孫氏), 나주송씨(羅州宋氏), 나주신씨(羅州申氏), 나주아씨(羅州阿氏), 나주양씨(羅州梁氏), 나주엄씨(羅州嚴氏), 나주염씨(羅州廉氏), 나주오씨(羅州吳氏), 나주이씨(羅州李氏), 나주임씨(羅州林氏), 나주임씨(羅州任氏), 나주장씨(羅州張氏), 나주전씨(羅州全氏), 나주정씨(羅州鄭氏), 나주정씨(羅州丁氏), 나주조씨(羅州趙氏), 나주주씨(羅州朱氏), 나주진씨(羅州陳氏), 나주차씨(羅州車氏), 나주추씨(羅州秋氏), 나주한씨(羅州韓氏), 나주호씨(羅州扈氏), 나주홍씨(羅州洪氏), 나주황씨(羅州黃氏) 등이다.
집성촌은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전북 장수군 장계면 금곡리, 전남 무안군 몽탄면 양장리, 전남 나주시 동강면 양지리, 전남 함평군 월야면 용월리, 전남 무안군 몽탄면 사천리, 전남 나주시 노안면 영평리, 전남 무안군 청계면 서호리, 충남 서산시 지곡면 산성리 등이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모두 54명이 있다. 문과 6명, 무과 16명, 사마시 32명 등이다. 통계청의 인구 조사에 의하면 나주정씨(羅州鄭氏)는 1985년에는 총 13,110가구 55,684명, 2000년에는 총 29,068가구 93,845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5년 만에 무려 1만6천여 가구,3만8천여 명이 늘어났다. 이처럼 많은 인구가 늘어난 것은 조사 과정에서 어떤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1985년 당시 전국의 지역별 인구 분포는 서울 14,857명, 부산 2,640명, 대구 1,423명, 인천 2,257명, 경기 7,405명, 강원 1,241명, 충북 900명, 충남 4,483명, 전북 3,134명, 전남 13,213명, 경북 1,668명, 경남 2,098명, 제주 365명이다. 전남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그 뒤 15년 후인 2000년 현재는 서울 21,498명, 부산 5,326명, 대구 3,576명, 인천 5,506명, 광주 6,697명, 대전 2,332명, 울산 1,344명, 경기 19,415명, 강원 2,263명, 충북 2,084명, 충남 4,018명, 전북 3,586명, 전남 7,980명, 경북 3,551명, 경남 4,011명, 제주 658명이다. 1985년과 광주, 전남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나주정씨는 본관이 같고 성이 다른 두 개의 나주정씨가 있다. 하나는 나주정씨(羅州鄭氏)이고, 또 하나는 나주정씨(羅州丁氏)이다. 한문 자체가 다른 성씨이지만 한글 성이 똑같아 언뜻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더군다나 인구도 거의 비슷해 더욱 혼란스럽다.
2000년 현재 나주정씨(羅州鄭氏)는 93,845명이고, 나주정씨(羅州丁氏)는 82,863명으로 정(鄭) 씨가 10,982명 더 많다. 그러나 지난 1985년 인구 조사에서는 나주정씨(羅州鄭씨)가 55,684명, 나주정씨(羅州丁씨)가 62,554명으로 정(丁) 씨가 오히려 6,870명 더 많았다. 1985년부터 2000년까지 15년 동안에 정(鄭) 씨는 38,161명이 늘었고, 정(丁) 씨는 20,309명이 늘어난 셈이다. 그러나 이 숫자는 인구 조사 과정에서 착오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필자 정복규 프로필
● 전북매일 편집국장, 논설위원
● 익산신문 사장
● 현재 새전북신문 수석 논설위원
● 현재 성씨 전문강사(한국의 성씨를 통한 역사탐구)
( 저 서 )
• 한국의 성씨: 성씨를 찾아서
• 한국의 성씨: 1,2권
• 칼럼집: 숲이 좋으면 새가 날아든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 핸드폰이 세상을 지배한다/ 개성있는 인재를 키워라
• 유머집: 각하 코드를 맞추세요
● 핸드폰: 010- 5162- 8632
● 이메일: jungbokyu@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