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재 'D-데이'가 바로 눈 앞에 다가오면서 해당 금융기관들은 온통 '초 비상 사태'에 들어갔다.
26일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제재의 날이 다가왔다. 제재 대상 임직원만 200명을 넘어서는 사상 최대 규모다. 특히 징계가 예고된 전·현직 최고경영자(CEO)만 10여명에 이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26일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총 15곳의 금융기관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한다. 금감원은 징계 대상자들에게 사전 통보를 한 후 이에 대한 의견 청취를 마쳤다.
26일 당일에는 요청자에 한해 제재심의위에 참석시킨 후 추가적인 소명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까지 사전 통보에 대한 의견청취를 마무리하고 검사결과를 토대로 사실확인을 검토하고 있다"며 "26일 제재심의위에 올라갈 제재 안건을 추리고 있는데 현재 15곳의 금융기관에서 총 200명이 넘는 임직원이 제재 대상일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26일 단 하루만에 제재 안건을 다 처리하기에는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00명이 넘는 임직원에 대한 징계 수위를 논의해야 하는 동시에 중징계가 예상되는 임직원들이 제재심의위에서 직접 소명을 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징계 대상자들에게 소명 기회를 충분히 주기로 방침을 정했다"며 "제재 안건도 많고 소명도 들어야 하니 하루 안에 처리하기 힘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대규모 제재의 최대 관심사는 각 금융기관 CEO에 대한 징계 수위다.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국민은행장 외에 리처드 힐 전 SC은행장, 신충식 전 농협은행장, 최기의 전 국민카드 사장 등 전직 금융사 CEO도 무더기로 중징계 대상이다. 이순우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하영구 한국시티금융지주 회장은 경징계 대상으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선 사전에 통보된 징계 수위가 변경될 가능성이 적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최수현 금감원장 역시 "검사 과정에서 나온 위법·부당한 사실에 대해서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중 제재할 예정"이라며 강경론을 고수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징계를 확정한 후 경영 공백이 우려되는 금융기관이 속출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는 이유다.
금융기관별로는 KB금융이 120여명으로 징계 대상자가 가장 많다. 국민은행 도쿄지점 부당 대출 및 비자금 조성 의혹, 보증부 대출 부당이자 환급액 허위 보고, 국민주택채권 횡령, 1조원대 가짜 확인서 발급 등으로 사전 징계가 통보된 임직원만 95명 정도다. 전산시스템 변경 계획 과정에 연루된 김재열 KB금융 CIO(전산담당 전무), 박지우 국민은행 부행장은 업무집행 정지 통보를 받아 교체가 유력하다.
우리은행의 경우 CJ그룹 차명계좌와 파이시티 불완전판매 제재 건과 관련해 수십명의 임직원이 중징계를 받을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은행은 직원들의 불법 계좌 조회로, SC은행과 씨티은행은 고객 정보 유출로 임직원들이 징계를 받는다.
1억여건의 고객 정보 유출 사고를 일으킨 국민카드와 농협은행, 롯데카드의 경우 사고 당시와 연루된 전직 대표이사 및 전산담당 임원은 모두 해임 권고 처분을 통보받았다.